영국 의사들이 모여 만든 역사 깊은 SCI급 저널 BJM에서 2010년 나온 논문도 콘드로이틴과 글루코사민은 위약과 별 차이가 없다고 지적한다.
결론은 글루코사민만 먹어도 황산콘드로이틴만 먹어도, 아니면 둘 다 먹어도 별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. 다만 통증이 Moderate~severe 단계인 일부 환자에게는 maybe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가능성을 시사했다.
우리 집 최고의 개구쟁이이자 조르미… 내 사랑하는 모찌스코 티슈 스트레이트였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왠지 귀가 처지고 다리를 절뚝거리기 시작한 스코티시폴드 특유의 유전병이 의심되는 가운데 관절영양제라는 것이 집사를 유혹! 하지만 나는 더 이상 마케팅에 속지 않겠다고 다짐했기에 팩트체크를 해보려고 한다.우선 과학적 사실을 확인하려면 논문을 찾아보는 게 가장 확실하다. 하지만 논문도 어떤 논문도 봐서는 안 된다.^^ 한때 논문을 써본 사람으로서 그쪽 비즈니스가 마음만 먹으면 데이터 정도는 얼마든지 가공할 수 있다는 걸 알기 때문에 www SCI급 저널에 실린 논문을 읽는 게 안전하다. 적어도 SCI급 저널에는 돈을 주고 논문을 싣거나 엉터리로 논문을 발행할 수는 없다.그래서 콘드로이틴과 글루코사민에 관한 SCI급 논문을 찾아보았다.

물론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틴이 관절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.2016년 SCI급 논문에서 이 같은 효과를 증명했는데,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황산콘드로이틴과 염산글루코사민에 대한 효과다. 꽤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6개월간 일정량의 황산콘드로이틴과 염산글루코사민을 매일 꾸준히 섭취한 결과를 발표한 것이다.호~
논문을 찾는 데 구글 스콜라만 한 것은 없다. 최고! 구글 스콜라에서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틴 키워드로 찾았을 때 눈에 띄게 인용 횟수가 많았고 SCI급 저널에 게재된 논문이었으며 임팩트 팩터도 매우 높은 Glucosamine, Chondroitin Sulfate, and the Twoin Combination for Painful Knee Osteoarthritis를 조사했다.
![]()
고양이 먹이와 음식에 관한 스터디 그룹입니다.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틴에 관한 논문과 자세한 설명도 위 글에 정리해뒀어 ㅎㅎ 관심있으신 분들은 오셔서 같이 공부해보겠습니다.~마케팅이 아닌 실제 효과와 성분을 바탕으로 똑똑한 집사생활을 해보세요!

그런데 또 2017년에 발행한 논문에서는 황산콘드로이틴이든 황산글루코사민이든 관절 개선 효과는 없다고 한다(눈물) 이건…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틴 자체가 효과가 없다기보다는 인간이 이런 영양소를 제대로 다룰 능력이 없어 보인다(웃음) 연구결과가 이랬다~저랬다~는 것은 결국 이 영양소가 최적화되고 효과를 발휘할 명확한 조건을 찾지 못했다는 것일 것이다. 그런 일이 있었다면 이미 그에 대한 대표 논문과 그 논문의 방법론을 검증하고 연구 결과를 replicate 해보는 후속 논문이 나왔을 것이다. 그러나 아직 이랬다~저랬다~는 것을 보면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틴의 효과를 조절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.영양소를 최적으로 섭취/흡수할 수 있도록 인공적으로 만든 ‘기술’이다. 하지만 아직 관절영양제에 관한 인간의 기술은 부족한 것 같다.관절영양제 콘드로이틴과 글루코사민이…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카페. naver.com


